OkGosu.Net 2.0 사이트 구축 과정 – WordPress+Mobile+Social

2008년 9월, OkGosu.Net 웹사이트는 제로보드XE 1.1.3 버전으로 만들었다. 제로보드 XE를 택한 이유는 쉽게 설치 구축이 가능했고, 다양한 플러그인, 테마를 지원했기 때문이다.또한 그 당시는 블로그가 유행했는데, 제로보드 XE도 RSS퍼블리싱, 트랙백 기능을 지원하고 있었다.

하지만 2009년말 아이폰이 도입되고부터 한국의 IT는 급변하게 바뀌기 시작했다.아이폰 도입을 필두로 스마트폰이 보급되고, 모바일에서 웹서핑하는 사람이 늘어났고, SNS 사용자도 늘어나기 시작했다.

나도 2010년 초에 아이폰으로 바꾸고서 OkGosu.Net 사이트도 모바일과 SNS를 지원하는 사이트로 개편해야겠다는 맘을 먹었지만, 액션스크립트 정석 출간으로 차일 피일 미루다….2011년에는 꼭 바꿔야지 하면서 플렉스 4.5 정석 책 출간으로 또 미루다가…2011년 9월에 이르러서야 개편할 수 있었다.

암튼, 각설이 길었는데,요새 IT트렌드를 반영해 OkGosu.Net 2.0 사이트의 핵심 요건은 다음과 같이 잡았고 솔루션을 찾아보았다.

  • 블로그 기반의 사이트–> 워드프레스 설치
  • 내부 포스팅에 대한 체계적 네비게이션 지원 –> 블로그 카테고리를 메뉴로 표현할 수 있는 테마 유무 체크
  • 모바일 웹사이트 지원 –> 모바일 테마 유무 체크
  • SNS로 보내기 –>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 보내기가 지원되는 플러그인 체크
  • SNS로 댓글 달기 및 공유하기 –> 페이스북 소셜 플러그인

워드프레스를 비롯해서 내가 생각하는 추가 요건들을 만족하는 솔루션을 찾는데 4주 정도 소요되었고,

본 사이트에는 다음과 같은 솔루션들을 적용했다.

  1. 워드프레스 3.2.1: apache 2.2.15 + php5.2.13 + Wordpress 3.1.3  (나중에 업글)+MySql 5.?
  2. 워드프레스 테마: Desire (by Nischal Maniar)
  3. 모바일웹 테마: WPtouch Pro ($29 주고 라이센스 구입, BraveNewCode 개발)
  4. SNS플러그인: 1-click Retweet/Share/Like (LinksAlpha개발)
  5. 페이스북플러그인: comment 플러그인

 

기술적인 설치 작업 흐름은 다음과 같다.

: 서버설정-> APM 설치 -> 워드프레스 설치

1. 네임 서버 설정: okgosu.net 도메인을 설정하기 위함
[DNS Zone 파일] /var/named/chroot/var/named
(0) 설정파일 체크 # named-checkconf named.conf (/etc/named.conf)
(1) 시작 # /etc/rc.d/init.d/named start
(2) 재시작 # /etc/rc.d/init.d/named reload
(3) 정지 # /etc/rc.d/init.d/named stop

여기서 부터 APM 설치, 우선 MySql부터

2.DB (mysql) 설치: mysql계정을 생성해야함
1) configure
./configure –prefix=/usr/local/mysql –with-charset=euckr –with-mysqld-user=mysql
2) make
3) make install
4) mysql_install_db –user=mysql
5) 서버 기동: /etc/init.d/mysqld start (시작)
6) okgosu.net db 생성
create database db이름
use mysql;
insert into user (host,user,password) values(‘localhost’,’db계정’,password(‘암호’));
GRANT SELECT, INSERT, UPDATE, DELETE, CREATE, DROP ON db이름.* TO 계정@localhost IDENTIFIED BY ‘암호’;
flush privileges;

7) MySQL 한글 깨짐 문제 해결방법
[client]
character-set=utf8

[mysqld]
init_connect=SET collation_connection = utf8_general_ci
init_connect=SET NAMES utf8
default-character-set=utf8
character-set-server=utf8
collation-server=utf8_general_ci

8) MySQL 시작 종료
/etc/init.d/mysqld start
/etc/init.d/mysqld stop

MySql작업이 끝나면, apache + php 설치 및 연동

3. 아파치 웹서버 설치: apache 2.2.15
1) ./configure –prefix=/usr/local/apache –enable-modules=so –enable-so –enable-rewrite –enable-ssl
2) make
3) make install

4. php5.2.13 설치
1) php소스를 /usr/local/php로 카피
2) ./configure –prefix=/usr/local/php –with-apxs2=/usr/local/apache/bin/apxs –with-mysql=/usr/local/mysql/ –with-config-file-path=/usr/local/apache/conf –with-exec-dir=/usr/local/apache/bin –with-zlib –with-gd –with-ttf –with-png –with-jpeg-dir –with-freetype-dir –with-gmp –with-xml –with-mod-charset –with-iconv –with-language=korean –enable-mbstr-enc-trans –enable-mbstring –enable-track-vars –enable-trans-sid –enable-iconv
3) make
4) make install

5. apache + php 연동
#vi /usr/local/apache/conf/httpd.conf
// php 파일로 해석할 확장명설정
// php 소스로 해석할 확장명설정
AddType application/x-httpd-php .php .php3
AddType application/x-httpd-php-source .phps

6.Zend설치
Zend-Optimizer 설치
– Zend-Optimizer 압축을 푼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 ./install.sh을 실행하여 절차대로 설치한다.

[Wordpress 3.1.3 설치]
1. wordpress 다운로드
1) 경로: http://wordpress.org/download/
2) 파일명: wordpress-3.1.3.tar.gz

2. wordpress를 웹서버에 업로드
: 압축해제: tar -xvf wordpress-3.1.3.tar.gz

3. 텔넷 접속
1) wp-config-sample.php을 wp-config.php로 이름 변경
2) db명 (***), db유저 (***), db 패스워드(***)

4. wordpress 세팅
1) http://okgosu.net/wordpress/wp-admin/install.php 접속
2) username, pw 입력
3) Install WordPress 클릭

– 끝 –

Comments

comments

Powered by Facebook Comments